Author Archives: mg_admin
gPocket 어플리케이션 출시
망고시스템에서 gPocket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하였습니다.
gPocket은 geo+pocket의 합성어로 지리정보를 수집하는 주머니라는 뜻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입니다.
현재 개발된 버젼은 JAVA기반 GIS서버인 GeoServer를 통해 공개된 모바일 환경에서 공개된 공간 데이터(Point, Polyline, Polygon)를 수집 및 편집할 수 있습니다.
주요기능으로는 서버관리, 공간 및 속성데이터 편집, 레이어 관리, 거리/면적 측정, 관심지역 관리 등이 있으며
현재 구글앱스토어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ango.gPocket&hl=ko
+ IOS 버전은 현재 준비중입니다.
+ 추후에는 project를 직접 등록하여 팀원들과 공유하고 수정할 수 있는 버젼을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용약관 : http://mangosystem.com:8080/access_terms.html
개인정보처리방침 : http://mangosystem.com:8080/personal_info.html
공개SW기술지원기업 등록
오픈데이&비어파티
4월 15일에 있었던 망고시스템 오픈데이&비어파티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많은분들께서 참석해주시고 응원해주셔서 더욱 열심히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자리를 빛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리며 더욱 열심히 망고스럽게 나아가는 망고시스템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FOSS4G Seoul 2015 SILVER Sponsor 후원
망고 시스템이 올해 9월에 있을 FOSS4G Seoul 2015 행사에 실버 스폰서로 후원을 하였습니다.
http://2015.foss4g.org/sponsorship/sponsors/
이번 행사를 통하여 국내에서 오픈소스 GIS의 발전이 있길 바라며 저희 망고시스템도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개SW포털 활용 성공사례 소개
공개 SW포털에서 저희 망고시스템이
‘[공개SW 활용 성공사례 154] 망고시스템 – 국토연구원에 공개SW 기반 GXT 엔진 구축’ 으로 소개가 되었습니다.
– 기 관 | : | 국토연구원 (구축업체 : 망고시스템) |
– 수행년도 | : | 2012년 |
– 도입배경 | : | 공공GIS 시장을 외산 GIS SW가 독점하고 있는데 따른 투자 및 운영 비용 증가 |
– 솔 루 션 | : | GeoTools(지오툴스), GeoSever(지오서버), uDig, gvSIC |
– 도입효과 | : | 국산 GIS SW의 확산과 DBMS의 국산화, 외산 대비 공공기관의 투자, 운영 비용 절감과 유지보수비율 감소 |
[인터뷰]
“공개SW 기반 GIS교육 컨설팅 확대해 GIS 산업 활성화에 기여”
망고시스템 망고시스템 박재현 대표, 이민파 연구소장
▲ 망고시스템
박재현 대표(좌), 이민파 연구소장(우)
Q. GIS시장은 외산이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다. 국산 업체로서 어려움이 있을 듯 한데, 망고시스템만의 GIS 시장 대응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고 있다. 개발전략과 가격전략, 홍보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발전략은 신기술 적용을 위한 기술연구에 시간 투자를 높이고, 제품의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환경테스트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또 공개SW 기반의 GIS 교육 및 컨설팅 등으로 GIS 산업 활성화에 기여해 나갈 예정이다.
공개SW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국내외 상용 GIS엔진 SW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양한 DBMS 지원은 물론 유일한 인증제품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블로그, 홈페이지 등을 통한 정보 및 기술을 공유해 나갈 방침이다.
Q. KOPSS가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시장이 축소되고 있는 듯 하다. 앞으로의 전망은?
KOPSS는 최초 시군단위 확산을 통해 240여개 지자체에 모두 배포될 것으로 기획됐다. 하지만 현재는 시도 단위에만 적용될 것으로 변경되면서 16~17개 시/도에만 확산될 예정이다. 때문에 GIS 업체들간 경쟁이 치열하진 않은 상태다.
시장 진출의 기회는 무궁무진하다고 판단된다. 정보화 시대에 따른 일상생활 속 위치 및 공간정보 활용 빈도가 증가하고 공공기관의 GIS 데이터가 점차 민간으로 활용도가 증대하고 있다. 때문에 민간 서비스를 위한 전문 GIS 컨설팅이 필요하다. 상권분석, 지오코딩 주소정제 등 GIS 기술 적용에 앞장설 계획이다. 특히 엔진 개발과 DBMS 개발에 있어 인증을 받고 있는 만큼 기술력은 그 어느 GIS 업체보다도 높다고 판단된다.